2023년은 국립생태원 개원 10주년을 맞는 해이다. 국립생태원의 탄생은 충남 서천 지역민 피땀의 산물이다.
지난 1989년에 정부는 전북 군산과 서천 앞바다를 군장국가산업단지(127.4㎢)로 지정한 뒤, 곧바로 군산 해안(37.6㎢)부터 매립공사에 착공했다.
하지만, 장항 해안(89.8㎢)은 환경단체 등의 갯벌생태계 훼손 논란으로 산업단지 조성 사업이 지연되면서, 장항국가산업단지 조기 착공을 염원하는 지역 주민들의 반발이 거세졌다.
그러자 당시 노무현 정부가 장항 임해 국가산단을 포기한 대신 대안 사업으로 ▲내륙산업단지 ▲국립생태원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조성을 제안해 결국, 이를 서천군이 수용해 탄생하게 됐다.
그런데 99만 8,000㎡의 드넓은 부지에 들어선 생태원은 ‘지역협력과 상생발전’을 도모하는 설립 취지에 지켜야 할 의무가 있음에도 이를 지난 10년 동안 입으로만 실행해왔다.
특히 지역 인재 육성 및 지역민 의무 채용과 관련해서 채용 특례의 필요성을 공감한다고 말들은 하지만, 실질적인 채용현황을 들여다보면 속 빈 강정에 불과하다.
또한, 지역경제 활성화에서도 지역 연계 생태관광프로그램의 운영이나 수익시설의 지역운영권 보장, 지역 특산품 판매장 운영 등에 대한 약속 또한 물 건너간 지 오래다.
서천군이 인구 5만 명 붕괴의 마지노선에서 허덕이는 순간에도 생태원 임직원들은 대부분 군산 등 인근 대도시에 거주하며, 출퇴근길 교통혼잡만 초래하고 있다.
지역민이 우려했던 대로 지역 인재 육성과 지역 일자리 창출, 지역경제 활성화 모색 등 ‘지역협력과 상생발전’ 등 당초 취지는 물 건너간 지 오래인 채, 벌써 10년이라는 시간이 흘렀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지역민은 임해 산업단지를 포기하는 희생 대신 얻어낸 정부 대안 사업이 환경부와 생태원만 배 불리는 꼴이 되었고, 지역민은 애꿎은 지역 내 부지 약 100만㎡만 잃는 꼴이 된 것이다.
이렇듯 생태원이 지난 10년 동안 입으로만 ‘지역협력과 상생발전’에 동의한다면서 실질적으로 서천군과 상생발전을 위한 협력체제와 방안을 모색하지 않은 점에 서천군의 책임 또한 피하기 어렵다.
이에 따라 정부 대안 사업이 목적과 취지에 부합하도록 ‘지역협력과 상생발전’을 도모하지 않는 한, 생태원 이전이라는 주장에 무게가 실릴 수밖에 없다.
특히 환경부와 생태원 임직원의 배만 불리는 기관으로 전락한 마당에 서천군민은 더 이상 생태원의 만행을 지켜만 볼 수는 없는 상황이기에 더욱 그렇다.
이미 생태원 임직원들의 군산행 출퇴근용으로 이용되는 후문과 서천군이 수억 원의 예산 투입으로 조성한 주차장은 무용지물(無用之物)로 변한 것은 어제오늘의 이야기가 아니다.
이에 따라 서천군수는 ‘상생발전과 지역협력’을 방관하는 생태원의 후문과 주차장을 폐쇄하는 결단을 내려야 한다.
이와 관련 지역의 한 유력 시민단체는 추후 생태원의 설립 취지인 ‘상생발전과 지역협력’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지 않는다면, 후문과 주차장 폐쇄를 위해 무기한 농성 등으로 실력행사를 예고했다.
이렇듯 생태원은 지역민의 피땀 어린 희생에서 나온 대안 사업이라는 점을 결코 잊어선 안 되고 지역민 위에 군림하려는 행태도 더욱더 보여서는 안 된다.
이제라도 ‘지역협력과 상생발전’의 설립 취지에 부합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하며 지역민의 피땀과 희생 위에 낳은 산물이라는 것 역시 절대로 잊지 않는 생태원의 환골탈태(換骨奪胎) 모습을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