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한말 우리에게 가장 치욕스러운 일은 명성황후가 시해된 일이다. 살인마 일본 낭인(무뢰배)을 도운 이는 다름 아닌 조선인 우범선이다.
그는 황궁을 지키는 별기군 대대장이었다. 황궁 수비대장이 적의 앞잡이 노릇을 한 것이다. 이후 그는 보복이 두려워 일본으로 망명, 일본 여자와 결혼하고 아들도 낳는다.
우범선은 아들이 여섯 살 되던 해 조선인 자객 (고영근)에게 피살된다. 우범선의 아들은 고되고, 찌든 생활고 속에서도 어머니의 헌신으로 대학을 졸업하고 농림성에 취직한다.
그의 아들은 그러나 일본식 성명 강요와 일본 국적 취득을 반대하다 결국 사표를 내고 도키이 종묘 회사의 농장장으로 직장을 옮긴다.
해방 뒤 일본에서 채소나 과일의 종자까지 수입해오던 이승만 정부는 우범선의 아들이 육종학(종자 개발) 전문가임을 알고 그를 귀국시켰다.
반일 감정이 지워지지 않은 그때, 곳곳에서 반대가 극심했다.
그런데도 농업학회가 주선해, 그는 처자식 및 어머니와 생이별하고 홀로 귀국해 한국농업과학연구소 소장에 취임한다.
그 뒤 제주도 감귤, 강원도 감자, 병충해에 강한 무와 배추의 종자를 개발해 한국 농업의 선구자가 됐다. 아래 밑동은 무, 이파리는 배추인 ‘무·배추’를 육종한 이도 그다.
정부에서 그에게 농림부 장관직을 제안했다. 그는 끝내 거절했다. 민족 반역자의 후손이자 죄인이 감히 장관을 할 수 없다는 자성이었다.
대신 종자 개발에만 헌신했다. 이를 인정받아 1959년 대한민국 문화포장을 받는다.
그가 바로 우리나라 사람으로 처음 노벨상 후보에 오른, ‘씨 없는 수박’으로 이름을 알린 우장춘 박사다.
우장춘의 성공은 일본인 어머니의 엄한 가르침과 본인의 치열한 노력 때문이다.
뒤에는 민족적 감정을 떠나 조국으로 기꺼이 불러들인 당시의 농학계와 행정부의 결단도 있었다.
자유당과 민주당이 앞다퉈 그에게 국회의원 출마를 종용했다. 자유당의 이승만, 민주당의 해공 신익희가 직접 나섰다. 역시 같은 이유로 거부했다.
정치권이 ‘우장춘 육종학 박사’라는 인물이 탐내면서도, 상대 당에 가지 못하도록 ‘공적 우범선의 아들’이라고 그를 괴롭혔다.
언론들도 종전까지 ‘우 박사 노벨상감’이라는 보도에서 180도 돌변했다.
당시 기사를 보면 ‘우장춘은 세계적인 육종학 박사지만 우범선의 아들’이라는 낙인을 찍어 비난 대열에 섰다.
우리는 물론 세계인들의 식탁에 오르는 김치를 실컷 담가 먹게 된 것도 다 그의 노력이었다.
배추, 무, 파, 고추, 마늘 등의 품질을 개량하고 전국에 보급하여 김장 채소의 자급자족을 실현한 것도 그의 공이다.
그런데도 우장춘은 ‘우범선의 아들’로 끝내 용서받지 못한 박사로 길이 막혔다.
말도 많고 탈도 많은 4·10 제22대 총선이 꼭 6일이 남았다.
앞서 일주일간 공식 선거운동을 지켜보자니, 누가 누군지 알 길이 없다.
내가 사는 지역구는 누구고 비례대표 정당은 어디에 투표해야 하는지도 헷갈린다.
오직 SNS로 날아드는 수백 통의 선거 홍보 인사와 상대 당을 흠집 내는 글귀들뿐이다.
보나 마나 오늘 선거한다면 깜깜히 모르는 선거가 아닐 수 없다. 그러다 보니 후보들에 대한 악담만 떠다닌다.
과거에 상대 후보 아버지가 두 집 살림했다느니, 전두환·노태우의 앞잡이였다느니, 윤핵관이라니, 이재명·조국 그룹의 핵심이라느니…. 온통 마타도어가 판을 친다.
이번에 마찬가지다. 온통 심판 타령이다. 야당들은 ‘윤석열 정권 탄핵’을, 여당은 ‘이재명·조국 심판’이다.
물론 그럴 수도 있다. 그러나 지갑을 열기 두려운 우리 국민은 그보다 어떻게 하면 고물가 등 위기를 바로잡을 능력 있는 후보, 정치를 원하고 있다.
말꼬투리를 잡고 하루하루 팍팍한 삶을 내 동댕이친 뻔뻔한 정치가 싫은 것이다.
선진정치문화를 목마르게 기다리면서 따끔하게 야단치는 이도 없다. 그러나 남의 험담에 약한 유권자들은 여기에 빠지기에 십상이다.
이대로 가다가 혈연 지연 학연만 따져 감정투표를 했던 과거 7~80년 3김시대 때 선거와 다를 바 없어 보인다.
인물 중심의 선택이 아니다. 그러니 일류 정치를 기대하면서 여전히 결과는 여전히 4류 정치를 만들어 낸다.
충청권 28개 선거구를 비롯하여 수도권, 영 호남권 모두 치열한 접전이다. 하지만, 누가 국회의원감이라는 선택의 잣대는 거의 없다.
후보 검증은 물론이고, ‘정치 보스 누구의 ×마니’, ‘부동산 투기×’, ‘누구는 여성 편력이 심하다.’, ‘××종교의 광신도’ 등등 네거티브만 극성이다.
만약에 말이다. 우장춘 박사나, 심지어 조정 간신배들의 모함으로 유배 갔다가 복직한 충무공 이순신 장군, 평안도지역 동학군의 진압 대장이었던 안중근 의사가 이번 총선에 출마했더라면 어찌 됐을까.
보나 마나 마타도어에 휩싸이긴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상대 당과 경쟁 후보가 별의별 의혹을 부풀려 이들의 호국정신과 애민 정신, 국권 수호 의지를 네거티브로 깎아내리지 않았을까.
그러니 유권자는 여기에 넘어가지 말아야 한다. 다선이라고 해서 능력이 출중하다는 판단도 잘못된 것이다. 정치신인이라고 해서 자질이 없는 게 아니다.
이들 중에 앞으로 나라와 국민을 위해 어떤 비전과 생각, 정책과 공약으로 우리를 대변하고 미래를 열지를 먼저 따져야 한다. 그리고 정직하고 양심적이며 이웃사촌같이 인간적인 사람을 골라야 한다.
지금까지 유력 여론조사도 결과도 조사업체나 의뢰업체마다 ‘미친 × 널뛰듯’했다. 주는 것 없이 미워하지 말고, 4년 앞의 지금 우리를 생각한다면 그 한 표의 행사는 매우 귀중하다.
이번 선거가 끝나면 2년 후인 2026년 6월에는 지방선거가, 그 뒤 또 제21대 대선이 기다리고 있다.
그 때문에 1석이라도 더 얻으려는 여야의 경쟁은 갈수록 치열해질 것이다. 그러려면 여론을 끌기 위해 사돈의 8촌까지 끄집어내고 상대의 별의별 흠집으로 접근할지 모른다.
그래서 인물론, 즉 후보의 능력과 자질, 양심과 도덕을 꼼꼼히 따져야 함은 물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