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n뉴스=서울] 신경용 대기자 = 김부겸 국무총리는 7일 코로나19의 먹는 치료제 도입과 관련, "다음 주에는 경구용 치료제(먹는 치료제)가 국내로 돌아올 것"이라고 밝혔다.
김 총리는 또한 방역패스에 따른 법원의 2심 판결이 조속히 나와야 혼란을 막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 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이처럼 밝히며 "신속히 의료현장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김 총리에 따르면 정부는 이제까지 화이자와 총 76만2000명분, 머크앤컴퍼니(MSD)와 총 24만2000명분 등 총 100만4000명 분의 구매 계약을 체결했으며, 이 가운데 일부가 내주 들어온다는 것이다.
경구용 치료제의 도입 날짜는 오는 13일 전후가 될 것으로 보이며, 정부는 구체적인 활용 방안을 다음주 중 발표할 계획이다.
그는 "확산속도가 매우 빠른 오미크론 변이를 감당하려면 지금의 방역체계 전반을 속도와 효율성 관점에서 전면 혁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회의(중대본)에서 모두 발언을 하고 있는 김부겸 국무총리. [사진=뉴스1]](http://www.sbnnews.co.kr/data/photos/20220101/art_16416283245979_d7f937.jpg)
그러면서 "진단검사 우선순위를 정해 감염 가능성이 높은 국민들부터 PCR(유전자증폭) 검사법으로 신속하게 검사하는 방안을 검토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법원이 '청소년 방역패스' 효력정지 시청을 일부 인용한 것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김 총리는 "방역패스를 둘러싼 혼란과 갈등이 장기화되면 결국 국민이 피해를 입게 된다"며 "법원이 가처분 항고심이나 본안 판결을 신속히 해줄 것을 요청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