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2.20 (금)

  • 맑음서산 1.2℃
  • 맑음대전 -0.7℃
  • 맑음홍성(예) -0.5℃
  • 맑음천안 -2.2℃
  • 맑음보령 1.3℃
  • 맑음부여 -1.6℃
  • 맑음금산 -1.7℃
기상청 제공

【시사】<쓴소리> 폭염 전력대란 막는게 정부의 책무

URL복사

늦장마가 멈추더니, 이제 낮 기온이 40도에 육박하는 극심한 무더위와 싸우고 있다.

저녁에는 열대야 현상까지 겹쳐, 코로나19 4차 대유행에 다시 지친 우리를 더 피곤하게한다.

이른 바 '열돔현상'이니, '가마 솥더위'니, '찜통더위'를 맞고 있는 것이다.  

이번 열돔은 한반도가 고온건조한 티벳고기압과 고온다습한 북태평양 고기압에 갖혀 있어서다.

이미 30여 일 이같은 열돔현상을 우려한 지는 꽤 오래 전이다.

더구나 지난 2018년 무려 111년만에 길고 긴 폭염을 겪은 터라, 폭염과의 전쟁이 적잖은 손실속에 국민적 지혜가 얼마나 필요한 지 알고 있다. 

기상청에서는 이런 열돔 현상으로 낮 기온이 40도에 육박하는 극심한 무더위가 찾아올 것으로 예보하고 있다.

이 처럼 열대야를 동반한 폭염이 전국적으로 이어져 전력 공급에도 비상이 아닐 수없다. 

때문에 전력소비도 최대치로 치솟으면서 전력예비율이 4%대까지 떨어질 것으로 보여 대규모 정전 우려가 커지고 있다.

코로나 19확진자가 폭증한 지난 14일,  이미 전력사용량이 올여름 최고치를 기록했다.

전력거래소에 의하면 그날 최대전력수요는 오후 5시 기준 8만8081MW로 전력 공급 예비율은 약 10%로 집계됐다. 

예비율이 올여름 들어 처음으로 한 자릿수인 9.1%로 떨어질 것이란 전망도 나왔으나 사용량은 이보다 조금 낮았다. 

그러나 늦장마가 몰고온 극심한 톡염이 예상되는 올여름, 일기예보를 보면 이제 시작에 불과하다. 

이게 끝이 아니어서, 금주 초에 장마가 끝나자 마자 기존보다 한 단계 더 강한 폭염과 열대야가 엄습할 것으로 예보됐다.

언급했듯이 여기에 코로나19에 맞서야 하는 힘겨운 싸움까지 겹쳐 국민모두가 7~8월 찜통더위를 지혜롭게 대비할수 밖에 없다. 

그도 그럴 것이  전력난의 심각성 때문이다.  무엇보다, 전력 대란을 막으려면  공급이 안정적이어야 한다. 

기록을 보면 역대 여름철 최대전력수요 최고치는 3년전 이맘때인  2018년 7월 24일이었다.

최대 전력수요가 9만2478MW로 전력공급 예비율이 무려 7.7%까지 떨어졌다.

올해 여름은 이를 뛰어넘을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한전등이 밝힌 전력수요는 최대 9만4400MW까지 올라갈 수 있다고 한다. 

구체적으로 보면 올여름 전력 예비력이 다음 주에 가장 낮아져 4.0∼7.9GW(상한전망∼기준전망, 예비율 4.2∼8.8%)를 기록할 것으로 우려섞인 관측이 나왔다. 

전력 예비력이 상한전망처럼 5.5GW 밑으로 떨어진다면, 전력수급 비상단계가 발령될 수 있다. 

비상단계는 예비력에 따라 5단계다. 1단계는 준비(5.5GW 미만), 2단계는 관심(4.5GW 미만), 주의(3.5GW 미만), 경계(2.5GW 미만), 심각(1.5GW 미만) 수준으로 나뉜다.

비상단계 발령은 2013년 8월 이후 한 번도 없었다. 하지만 올여름은 비상단계 진입 가능성이 꽤 높다. 

그래서 정부와 한전은 책무인 전력수급 관리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국민들도 마찬가지다. 만의하나, 비상단계가 발령될 경우 단계별로 가정과 사무실, 산업체 등에서는 냉방기기 가동 자제 등의 비상 대책이 적용된다.

올여름엔 코로나19 방역을 위한 거리두기 강화에따른 재택근무로 가정 내 전력 소비가 늘 것이 뻔하다. 당국은 이 부분역시 꼼꼼히 살펴야한다. 

대규모 전력 수요가 많은 산업체들의 협조는 절대적이다.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최근 만약의 사태에 대비, 기업들에게  '수요반응 제도'에 참여해 줄 것을 요청했을 정도다.

'수요반응 제도'란 기업들이 전력수요가 높아 수요감축 요청을 받았을 때, 약정한 만큼 감축량을 달성하면 해당 기업에 대해 보상하는  제도다. 

그래서 나라 전체가 정전사태를 빚지 않기 위해서라도 기업의 생산활동을 탄력적으로 조정해야하는 것이다. 

기업들의 적극적인 동참이 요구된다.  강제 단전 조치인 순환단전을 초래했던 2011년 9·15 대정전 같은 사태가 되풀이돼선 안 된다. 

대전·세종 등 충청권만해도 그렇다,

농어민의 생명줄인 농수산시설물은 말할 것도 없다.

여기에 정부의 각 부처와 정부외청이 있고, 더더욱이 3군(軍)본부와 국방과학연구시설, 원자력연구소, 정부출연기관등 대덕연구시설등이 즐비하다. 

대정전사태(블랙아웃)가 단 1초라도 온다면 그래서 막대한 손실이 예상된다.
 
한전 등은 이런 우려에 매일 전력 상황을 모니터링하며 발전소, 변전소 기동이나 정지를 지시하는 급전지시 등 만일의 상황에 대비하고 있다고 전해왔다. 

첨단 기술을 활용한 최적의 절전, 배전 시스템 구축과 운영에도 전력해야하는 이유다. 

정부는 만약을 대비해 8.8GW의 전력 추가 예비자원을 확보해 뒀다고 설명한다.

예방 정비 중인 부산복합 4호기, 고성하이 2호기 등 발전기의 시운전 일정을 전력피크 주간으로 조정했다.

태양광을 통해 전기를 충전한 에너지저장장치(ESS) 방전시간 발생 시간을 변경하는 방식을 통해서다.

매년 여름철 폭염 때마다 대정전사태를 막으려면 어떤 상황이든 전력 공급에 차질이 없도록 정책적 보완이 시급하다.

또, 탈원전을 포함한 장기적인 전력수급 정책을 재점검하라는 의견도 받아들여  진지한 논의가 필요하다.

정부는 국민에게 블랙아웃을 막을 책임이 있고, 국민과 기업역시 지혜를 모아야 어려움을 헤처나갈수 있다. 




포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