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마다 농업인 300명 가까이 농작업 중 사망한다는 사실은 충격이다.
농기계 사고나 과수원 가지치기 및 과일 수확 중 추락, 농약 살포 중 중독, 농업창고 화재 등 다양한 사고가 발생했다.
더구나 농업인 재해 이자만, 이는 산업재해 통계에도 제대로 잡히지 않는다는 것이다.
농림축산식품부와 농협중앙회가 국회 농해수위에 제출한 자료를 보면 지난 2024년 농작업 중 재해로 사망한 농업인은 297명이었다.
사망만인율(1만 명당 1명 비율)은 2.99명이다.
이는 전체 산업재해 사망만인율 0.98명의 3배에 달한다.
농업인의 사망을 연도별로 볼 때 2021년 232명을 비롯해 2022년 253명, 2023년 276명, 2024년 297명이 숨졌고, 2025년 상반기에만 벌써 127명이 아까운 목숨을 잃었다.
지난 5년간 총 1,185명이 농작업 중 사망한 셈이다.
여기에 비사망 재해를 포함한 전체 재해자 규모도 훨씬 크다.
농작업 중 사고로 중경상을 입어 보험금을 받은 농업인이 매년 5만 명을 훌쩍 넘는다.
구체적으로 2021년에 5만 2,774명을 비롯해 2022년 5만 2,386명, 2023년 5만 7,776명, 2024년 만 852명이며, 올 상반기에는 2만 5,737명이었다.
하지만 정부(고용노동부)의 산업재해 통계는 산재보험 가입자만을 대상이어서, 농업인 사망자가 극히 일부만 집계된다.
산재보험은 농업법인이거나 상시근로자 수가 5명 이상일 경우에만 의무적으로 가입하게 되어있다.
문제는 대부분 자영농인 농업인은 산재보험 적용에서 제외된다.
농작업 중 재해로 숨지거나 다친 농업인 통계는 농업인 안전 보험 지급 건수로 확인이 가능하다.
농업인 안전 보험 지급 건수를 2024년 산재 통계상 농업 사망자는 15명에 불과하나, 같은 기간 농업인 안전 보험에 의하면 농업인 사망자 297명이다. 무려 20배 차이다.
그런데도 농업인 안전 보험에서의 재해자 수치 역시 농업인 재해의 일부분만 반영되어 있다.
농업인 안전 보험의 가입률이 지난 4년간 평균 66%인 것을 고려하면 실제 농업인 재해는 더 건수도 많다.
농업인 안전 재해예방 관련 법·제도 강화를 비롯해 농업인 사망재해에 대한 국가 공식통계 생산 등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