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재 발생 시 주민 스스로 초기대응을 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기 위해 호스릴 소화전을 전면 확대 배치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충남도의회 조이환 의원(서천2)은 지난 23일 개최된 제301회 임시회 1차 본회의 5분 발언을 통해 마을자치를 위한 호스릴 소화전 확대 설치를 촉구했다.
조이환 의원에 따르면 호스릴 소화전은 지리적 여건상 소방차 진입이 불가하거나 전문소방인력의 도착이 오래 걸리는 도서·산간 지역을 중심으로 설치되고 있다.
지역주민들은 화재 발생 시 이 장비를 활용해 초기에 화재 진압을 실시해 더 큰 재산피해를 막내고 있으며, 실제 2015년 3월과 2017년 11월 금산군과 부여군에서 발생한 주택화재에서 호스릴 소화전으로 화재를 진압하는 등 큰 효과를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예산부족을 이유로 호스릴 소화전 설치가 연간 145개에 불과하다는 점이다.
이와 관련 조이환 의원은 “호스릴 소화전은 전문소방관이 아니더라도 밸브만 열면 누구나 사용 가능하고 저비용으로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유일한 장비”라며 “하지만 예산 부족을 이유로 호스릴 소화전 설치를 미루는 것은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격으로 그 책임을 묻지 않을 수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예상치 못한 화재발생에 대한 초기진압을 위해서는 소방공무원 인력만으로 한계가 있다”며 “소방본부뿐만 아니라 관련 부서가 머리를 맞대고 화재 발생 시 지역민 스스로 초기진압 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