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천읍 화금리 672-11번지 공동주택 신축과 관련 갈등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그린주택 공동주택 신축 반대 투쟁위원회(위원장 김은표 / 이하 그린주택 투쟁위)에 따르면 지난달 29일 화금리 공동주택을 두고 건축주와 주민 간 마찰을 해소하기 위해 마련된 1차 면담 이후 지난 4일 2차 면담이 진행됐으나 별다른 성과 없이 끝났다.
그린주택 투쟁위는 “건축주가 건설공제조합의 보증상품을 가입했으나 2억 원에 불과 하는 등 현실성이 없어 받아들일 수 없다”며 “현실적인 대안이 마련되지 않는 이상 1인 시위 등 반대집회를 이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그린주택 투쟁위는 건축허가부터 현재 상황에 이르기까지 군의 안일한 행정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김은표 그린주택 투쟁위원장은 “설계변경 허가 승인시점이 주민들이 첫 집회를 가졌던 지난달 29일로 주민들의 의견이나 입장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다”며 “2차 면담자리에도 담당 계장은 40여분이나 늦게 도착하는 등 주민들을 무시하는 행정으로 일관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특히 정보공개를 통해 확인한 건축허가서를 보면 동일한 문구가 중복되어 있다”며 “군이 이번 화금리 공동주택 신축과 관련해 행정 처리를 어떻게 하고 있는지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고 덧붙였다.
실제 그린주택 투쟁위가 제공한 건축허가서에 따르면 “또한, 공사완료 후 건축법 제22조에 의거 사용신청을 하시기 바랍니다.”라는 문구가 중복 게재돼 있다.
이에 그린주택 투쟁위는 지금까지 안일한 행정으로 갈등의 빌미를 제공한 것은 물론 현재 건축주와의 원만한 협의가 이뤄지지 않는 만큼 군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다.
김은표 그린주택 투쟁위원장은 “그동안 군의 안일한 행정으로 인해 모두의 피해가 누적되고 있는 만큼 해결을 위해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하다”며 “건축주와의 협의점을 찾도록 중재 역할을 하거나 공동주택 신축 대상지를 군에서 매입, 공원을 조성하는 등의 대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그린주택 투쟁위는 지난 5일 군청 정문 앞에서 이와 같은 의견을 피력하는 2차 집회를 가졌으며, 박노찬 의원과 이준희 의원이 현장을 방문했다.
박노찬 의원은 “주민들의 안전은 법은 물론 그 무엇보다 가장 우선시 돼야 한다”며 “원만한 해결책을 찾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준희 의원도 “화금리 공동주택 신축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의 피해가 누적되고 있는 만큼 담당공무원과 충분한 논의를 거쳐 협의 점을 찾아보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