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태흠 국회의원은 서천군이 주요사업 추진 시 계약단계부터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지난 23일 국회의원 초청 정책간담회에서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장항산단 공해유발 업종 입주 및 신서천화력발전소 건립사업 관련 기본계획 수립 및 최초 협약체결 등 군의 초기 대응에 문제가 있다고 밝혔다.
장항산단 내 공해유발 업종 입주와 관련 김 의원은 “장항산단 내 공해유발 업종 입주가 문제가 돼서 확인해보니 지난 2008년 장항산단을 대안사업으로 받는 과정에서 기본계획 수립 시 입주 가능 업종에 해당 업종도 포함돼 있었다”며 “생태산단에 공해유발 업종이 입주 가능하도록 계획을 수립해놓고 이슈가 되니 이제야 해결에 나서는 것은 무책임한 행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 문제 때문에 LH 부사장과 LH 충남 본부장 등과 수차례 면담을 갖고 해결해 줄 것을 부탁해 군과 협의하겠다는 답변을 겨우 들을 수 있었다”며 “하지만 이마저도 이후 진행사항에 대해서는 군으로부터 보고받지 못한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조정환 투자유치과장은 “공해유발 업종의 입주를 제한하기 위해 공문을 보냈다”며 “현재 고시 단계만 남아있는 상태로 입주를 할 수 없도록 조치를 취했으며 이후 상황은 별도 보고 드리겠다”고 답변했다.
김 의원은 신서천화력 해상공사에 대해서도 “세부협의 사항이 논의되고 있는 시점에서 어민들의 피해가 가중되고 있는 것은 최초 협약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이라며 “지역발전을 위한 주요 사업들이 계획단계에서부터 차질이 발생해서는 안된다”고 꼬집었다.
이어 김 의원은 시작단계에 있는 해양바이오산업 지원센터 건립 사업에 대해서도 장항산단 등의 문제를 답습하지 않기 위해선 군의 확실한 입장정리와 함께 세부계획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충남도와 해양수산부 간 의견일치가 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조속한 시일 내에 군의 입장을 전달할 필요가 있다”며 “앞으로 어떠한 사업을 계획하거나 추진하더라도 서천발전을 위한 일이니 만큼 책임감을 갖고 임하는 자세가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