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군산시에서 서천지역으로 출근하는 직장인을 잡기위한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군산시에서 서천군으로 출퇴근하는 차량이 약 2000여대로 밝혀지면서 현실적이지 못한 서천군의 인구 늘이기 정책에 대한 비판과 함께 공격적인 마케팅 및 전략 마련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서천경찰서 CCTV 분석 결과에 따르면 지난달 28일(수) 오전 7시에서 9시까지 하굿둑사거리를 통해 서천군 방향으로 이동하는 차량이 2185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화물차 등을 제외할 경우 약 2000여대 정도가 출근을 위해 이동하는 것으로 주요 출근시간대인 오전 8시에서 8시 30분에는 약 1000대 정도가 몰리는 등 신호를 대기하는 차량으로 편도 2차선 도로는 주차장을 방불케 했다.
반면 국립생태원과 국립해양생물자원관 등이 휴관하는 월요일에는 상대적으로 한가한 차량 이동 흐름을 보였다.
군에 따르면 주민등록 인구는 국고보조금, 보통교부세 등 의존재원 산정에 기초가 되는 중요한 통계이며, 직장인 등 경제인구 확보로 세수 증가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전입정책은 세수확보와 연관성이 높아 현실적인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
인근 지역 논산시의 경우 건양대학교 기숙사 생활관 학생 1317명에게 전입의 조건으로 2012년부터 2015년까지 3년간 생활안정지원금 1억7600만원을 지원했다.
청양군은 ‘인구증가 시책 지원 조례’를 제정 전입유도 기관·단체·기업체·군부대 등에 장려금 최대 300만원 지원 등이 포함된 ‘인구증가 2020 프로젝트’를 가동해 지난 2013년을 기점으로 4년 동안 총 796명의 인구증가 성과를 거뒀다.
이와 관련 서천군의회 오세국 의원은 “전입지원금 및 기관·단체·기업체 등에 대한 전입유도 장려금 등 타 시·군을 벤치마킹해 적극적으로 전입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동백대교 개통 시 이러한 빨대현상은 더욱 심화될 전망으로 인구감소와 젊은층 유출 문제를 겪고 있는 군의 발 빠른 대처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